[ 앵커 ]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당국의 정책 요구를 거부한 하버드대에 보복 조치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거액의 지원금을 삭감한 데 이어 이번에는 외국인 학생의 하버드대 입학을 금지하는 이례적인 조치를 내놨습니다.
한미희 기자입니다.
[ 기자 ]
미국 국토안보부 장관은 “하버드대가 학생 및 교환 방문자 프로그램, SEVP 인증을 상실했다”고 밝혔습니다.
SEVP는 유학생 비자 등을 관리하는 국토안보부의 프로그램으로, 대학들은 이 인증이 있어야 학생 비자에 필요한 유학생 자격증명서 등을 발급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하버드대는 더이상 외국인 학생을 받을 수 없는 것은 물론, 기존 외국인 학생들도 학교를 옮겨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법적 지위를 상실하게 된다고 당국은 설명했습니다.
국토안보부 장관은 “하버드대가 캠퍼스 내에서 폭력과 반유대주의를 조장하고 중국 공산당과 협력한 것에 대해 책임을 묻고 있다”며
이번 조치를 다른 대학에도 확대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정부와 대학들의 갈등은 지난해 대학가에서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공격 중단을 촉구하는 반전 시위가 확산한 이후 본격화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반전 시위의 진원지로 꼽히는 주요 명문대를 상대로 다양성 정책 등에 대한 강도 높은 개편을 요구했습니다.
하버드대는 이런 요구가 학문의 자유를 침해한다며 거부했고, 트럼프 정부는 3조원대 규모의 연방 지원금을 중단했습니다.
지원금 중단이 위법하다며 소송을 제기한 하버드대는 외국인 학생 차단 역시 불법이라며 반발했습니다.
하버드대는 이날 성명을 통해 “140여개국 출신 외국인 학생과 학자의 수용 능력을 유지하기 위해 전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하버드대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은 약 6,800명으로 전체 학생의 27%에 달합니다.
연합뉴스 한미희입니다.
#트럼프 #하버드 #유학 #다양성
(영상편집 정애경/그래픽 우채영)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한미희(mih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