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대만 (PG)[연합뉴스][연합뉴스]

인도와 파키스탄 간 무력 충돌 과정에서 중국산 무기가 위력을 드러내면서 중국과 군사적 긴장 관계에 있는 대만 내부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홍콩 일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현지시간 13일 파키스탄이 중국으로부터 공급받은 전투기와 미사일, 방공망 등을 인도와의 실전에 투입해 성과를 거두면서 대만 내부에서 경각심이 일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특히 파키스탄이 중국산 젠(殲·J)-10C 전투기로 인도군이 운용하는 프랑스산 최신예 라팔 전투기를 격추했다는 주장이 사실로 확인된 것에 충격을 받았다는 반응입니다.

대만 입법원(국회) 외교국방위원회 소속인 민진당 천관팅 의원은 “인도와 파키스탄 간 공중전은 중국의 PL-15 공대공 미사일과 프랑스의 미티어 미사일이 처음 맞붙은 사례일 것”이라면서 “이 무기 체계가 어떻게 성능을 발휘했는지가 앞으로 전 세계의 방위 조달 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이어 “대만 입장에서는 우리가 어떠한 위협에 직면하고 있고, 우리의 역량을 어디에 신속히 투입해야 하는지를 상기시켰다”면서 “대만 안보에 중요한 시사점이 된 이번 교전의 역학을 면밀히 살펴 앞으로의 위협을 예측하고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군사 전문가들은 중국의 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군사 운용 능력에 주목했습니다.

대만 국방부 싱크탱크인 국방안전연구원의 쉬샤오황 수석 연구원은 “이번 전투는 중국이 통합 전술을 선보인 일종의 대리전이었다”라며 “중국의 지원 아래 파키스탄은 공중 조기경보기와 디지털 지휘 네트워크 등을 활용해 전방위 전투 작전을 펼쳤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파키스탄은 J-10C의 자체 레이더를 켜지 않고도 PL-15를 발사할 수 있었다”며 “이는 전투기의 노출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선제 타격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식”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어 “단순히 미사일 성능의 문제가 아니라, 미사일 뒤에 있는 네트워크가 작전의 핵심”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 연구원의 수쯔원 연구원도 “시스템 통합 없이는 대만의 장거리 공격 대응력은 극히 제한된다”고 말했습니다.

무기 도입을 늘리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라 네트워크 중심의 군사 운용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군사 분석가인 에리히 시는 “대만군의 통합 수준은 몇십년 뒤처져 있다”면서 “대만이 보유한 미국의 E-2K 조기경보기조차 현대 공중전에 필수인 최신 협동 교전 인터페이스를 갖추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대만 해군 중장 출신의 군사전문가인 란닝리도 “이번 교전은 대만 군사 계획에 경고음을 울렸다”면서 “대만은 무기를 사들이는 것에서 그치지 말고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대만 해협을 사이에 놓고 중국의 지속적인 군사 압박에 시달리는 대만은 중국의 2027년 침공을 공식적으로 상정하고 올해 연례 최대 합동훈련을 실시할 예정입니다.

#대만 #중국산무기 #중국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권정상(jusang@yna.co.kr)

Share.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