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AP=연합뉴스][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해외에서 생산된 아이폰에 대한 최소 25% 관세 부과 방침과 관련해 삼성 등 해외에서 생산돼 수입되는 다른 휴대전화에도 똑같이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시사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시간 23일 백악관 집무실에서 진행된 행정명령 서명행사에서 한 회사만 특정해 관세를 부과할 권한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 “(관세 부과 대상이) 더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삼성이나 다른 기업도 해당될 것”이라며 “그렇지 않으면 불공평하다”라고 말했습니다.

휴대전화에 대한 관세를 다음달 말부터 부과할 것임을 내비치면서 업체들이 미국에 공장을 건설하면 관세는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애플이 아이폰의 생산거점을 인도로 옮기려는 것을 두고는 “인도로 가는 것은 문제가 없지만 그럴 경우 관세 없이 미국에서 판매는 할 수 없다”라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SNS를 통해 “나는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이 인도 혹은 다른 나라가 아닌 미국에서 제조되기를 바란다고 팀 쿡 애플 CEO에게 오래전에 알린 바 있다”면서 “그렇지 않다면 애플은 최소 25%의 관세를 내야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해 관세 협상 책임자인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언론 인터뷰에서 “우리의 가장 큰 취약점이 해외 생산, 특히 반도체의 해외 생산이라고 생각한다”라면서 “애플에 들어가는 부품의 큰 부분은 반도체이기 때문에 우리는 애플이 반도체 공급망을 더 안전하게 만드는 것을 돕기를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달 1일부터 유럽연합, EU에 50%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한 자신의 발언과 관련해선 “협상을 하려는 게 아니다”라며 “이제 내 방법으로 게임을 해야할 때”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애플 #삼성 #관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방준혁(bang@yna.co.kr)

Share.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