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권거래소[연합뉴스 자료제공][연합뉴스 자료제공]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럽연합, EU에 대한 ’50% 관세’ 부과 시점을 약 한 달간 유예하기로 하면서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가 동반 급등했습니다.

현지시간 27일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40.58포인트(1.78%) 뛴 42,343.65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18.72포인트(2.05%) 상승한 5,921.54, 나스닥종합지수는 461.96포인트(2.47%) 급등한 19,199.16에 장을 마쳤습니다.

트럼프는 지난 25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의 요청을 받아들여 50%의 관세 부과 시점을 당초 6월 1일에서 7월 9일까지 유예하기로 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전날 현충일(메모리얼데이)을 맞아 휴장한 뉴욕증시는 관세 유예 결정에 따른 안도감에 강세로 출발해 장중 내내 상승 폭을 키웠습니다.

미국 소비자들의 신뢰지수가 대폭 개선된 점도 증시에 순풍으로 작용했습니다.

미국 5월 소비자신뢰지수는 98.0으로 집계됐습니다.

전월 85.7에서 12.3포인트 급등한 수치이자 시장 전망치 87.0 또한 크게 웃돈 수치로, 최근 5개월간 이어진 하락 흐름이 가파르게 반등했습니다.

미국과 중국이 지난 12일 90일간의 관세전쟁 휴전에 합의한 이후 소비자들의 경제 심리를 짓눌렀던 관세 관련 우려가 크게 개선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업종별로는 모든 업종이 올랐습니다.

기술은 2.55%, 통신서비스는 2.14% 상승했으며 임의소비재는 3.04% 급등했습니다.

거대 기술기업 7곳을 가리키는 ‘매그니피센트7’은 모두 강세를 보였습니다.

테슬라는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테슬라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기대감에 주가가 7% 뛰었습니다.

애플은 주가가 2.53% 올랐으나 시가총액은 3조달러 선을 회복하는 데 실패했습니다.

반면 이번 주 1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월가의 주목을 받는 엔비디아는 3.21% 상승하며 시총 2위 자리를 공고히 다졌습니다.

인공지능(AI) 및 반도체 관련주로 구성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3.38% 급등하며 7일 연속 하락세를 끊어냈습니다.

다우지수를 구성하는 30개의 블루칩 종목 중 보잉과 유나이티드헬스그룹만 약보합을 기록했습니다.

#뉴욕증시 #다우지수 #SP500 #나스닥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신주원(nanjuhee@yna.co.kr)

Share.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