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월스트리트의 뉴욕증권거래소[UPI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UPI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밀어붙이는 대규모 감세 법안이 미국의 재정 적자를 키울 것이란 우려을 확산하고, 국채 금리를 밀어 올리면서 뉴욕증시가 급락했습니다.

현지시간 21일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816.80포인트(1.91%) 급락한 41,860.44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95.85포인트(1.61%) 내려앉은 5,844.61, 나스닥종합지수는 270.07포인트(1.41%) 밀린 18,872.64에 장을 마쳤습니다.

최근 한 달간 빠른 회복세를 이어온 뉴욕증시 3대 지수는 한 달 만에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평온하게 흘러가던 증시에 충격파를 낳은 것은 오후 1시 진행된 미국 20년물 국채 입찰의 결과였습니다.

미국 재무부가 160억달러 규모로 진행한 20년물 입찰에서 발행금리는 5.047%로 결정됐습니다.

지난달 입찰 때의 4.810%와 비교해 23.7bp 급등한 수치이자 2023년 10월 이후 최고치로, 발행 전 거래(When-Issued trading) 금리 또한 1.2bp 웃돌았습니다.

20년물 입찰은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미국 신용등급을 강등한 이후 처음으로 치러지는 쿠폰금리 국채 입찰로, 그런 만큼 신용 강등 여파가 나타날 것인지 월가가 주목하던 이벤트였습니다.

20년물 입찰 결과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밀어붙이는 감세 법안과 맞물려 더 큰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30년물 국채금리도 공화당 감세안에 대한 우려로 다시 5% 선 위로 올라섰습니다.

업종별로 보면 통신서비스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주저앉았으며 금융과 의료건강, 부동산은 2% 이상 급락했습니다.

거대 기술기업 7곳을 가리키는 ‘매그니피센트7’은 알파벳을 제외하면 모두 하락했습니다.

구글은 인공지능(AI) 서비스를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구글 글라스를 선보이면서 AI 현실화 기대감에 주가가 3% 가까이 올랐습니다.

미국 최대 보험사 유나이티드헬스그룹은 HSBC가 투자의견을 하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490달러에서 270달러까지 내린 여파로 주가가 6% 하락했습니다.

미국 대형 소매 업체 타깃이 실망스러운 1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주가가 5% 넘게 밀렸습니다.

CFRA리서치의 샘 스토발 수석 투자전략가는 이날 CNBC 인터뷰에서 “투자자들은 정부가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고 부채를 줄이기 위해 실질적으로 아무것도 하지 않고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며 “이런 우려가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 상승으로 나타나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뉴욕증시 #다우지수 #SP500 #나스닥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신주원(nanjuhee@yna.co.kr)

Share.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