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의 무역협상 결과를 설명하다 통일을 언급해 대만이 충격에 휩싸였습니다.
중국 시장 개방의 대가로 대만을 내준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일었는데, 미 국무부는 진화에 나섰습니다.
베이징에서 배삼진 특파원입니다.
[기자]
미중 간 무역협상 결과를 설명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평화와 통일’이라는 단어가 등장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지난 12일) “중국에게도 환상적이고, 우리에게도 환상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통일과 평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대만 내에서는 민감한 ‘통일’이라는 표현이 등장해 큰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대만 중국시보는 “통일과 평화 언급이 준비된 것인지, 즉흥적인 것인지 확인할 수 없다”며 “미중 관세 협상에서 대만 문제가 거론됐을 것이란 추측이 일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대만 방송들도 트럼프 정부의 외교 기조가 변화한 것인지 촉각을 세웠습니다.
<셰한빙/대만 시사평론가>(13일/대만 라디오방송) “중국은 미국과 협상 전에 항상 대만 문제를 먼저 이야기합니다. 이런 기조 때문에 미국재대만협회가 라이칭더에게 브레이크를 밟으라고 할 것 같습니다.”
논란이 확산되자 미국 국무부는 “미중 무역관계의 맥락에서 말한 것”이라며 “미국의 대만 정책에 변함이 없다”고 해명했습니다.
대만 총통실까지 나서 “현재까지 입수된 정보로는 미중 협상에 대만 문제가 포함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중국의 대만 담당조직인 국무원 대만사무판공실은 관련 보도에 주목했다며 중국의 통일 완수에 이해와 지지를 당부했습니다.
<천빈화 / 중국 대만판공실 대변인> “미국은 시종일관 미국 우선주의를 추구할 것이며, 대만은 처음부터 끝까지 미국이 포기해야 할 볼모라는 걸 깨닫게 하고 있습니다”
싱크탱크 브루킹스연구소는 ‘중국의 폭력 없는 강압 전략’과 ‘대만 내 미국 회의론 증가’가 대만을 흔들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배삼진특파원> “또 다른 연구소에선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미중 간 새로운 무역협정을 추진하면서 대만을 협상 대상으로 삼을지에 대한 궁금증을 키웠다고 지적했습니다. 베이징에서 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
#트럼프 #대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배삼진(baesj@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