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극도의 변동성을 보인 끝에 강세로 마감했습니다.
현지시간 7일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84.97포인트(0.70%) 오른 41,113.97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4.37포인트(0.43%) 상승한 5,631.28, 나스닥종합지수는 48.50포인트(0.27%) 오른 17,738.16에 장을 마쳤습니다.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가 기준금리를 동결한 가운데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올해 금리인하가 불확실하다고 밝히면서 투자 심리가 약해졌습니다.
그러나 장 막판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인공지능(AI) 칩 관련 규제를 폐지하기로 했다는 소식에 매수세가 집중되면서 주가는 반등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주요 외신이 조 바이든 전임 행정부에 도입됐던 AI 칩 규제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폐지하기로 했다고 보도하며 S&P500 지수는 30분 사이에 40포인트나 급등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AI 칩 수출 통제가 완화하는 조치로 해석될 수 있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반도체 수출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는 새로운 규정을 마련 중인 만큼 이번 조치의 장기적 영향은 지켜봐야 합니다.
업종별로는 소재와 부동산, 통신서비스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올랐고 임의소비재는 1% 이상 상승했습니다.
AI 칩 규제가 폐지될 것이라는 소식에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1.74% 오르며 반색했습니다.
엔비디아가 3.1% 올랐고 브로드컴과 ASML, 퀄컴도 3% 안팎으로 올랐습니다.
거대 기술기업 중에선 아마존과 메타플랫폼스가 2% 안팎으로 상승했고 마이크로소프트도 강보합을 보였습니다.
반면 애플은 1% 이상 떨어졌고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이 7% 이상 급락한 점이 눈에 띄었습니다.
AI 검색 엔진이 결국 구글 같은 표준 검색 엔진을 대체할 것이라고 애플의 에디 큐 서비스 부문 총괄이 전망한 점이 악영향을 줬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월트디즈니는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호실적을 기록하면서 주가가 10% 넘게 급등했습니다.
한편 투자자들이 이날 연준 성명과 파월 의장 회견을 다소 매파적(통화긴축 선호)으로 해석하면서 시장에 반영된 조기 금리 인하 기대감은 다소 약화했습니다.
시카고선물거래서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 선물시장은 이날 연준 결정 이후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현 4.25∼4.50% 수준에서 동결할 확률을 전날 22%에서 이날 29%로 상승 반영했습니다.
#뉴욕증시 #다우지수 #SP500 #나스닥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신주원(nanjuh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