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과 우크라이나가 수개월간의 진통 끝에 이른바 ‘광물 협정’에 서명했습니다.
교착 상태에 빠진 종전 협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보도국 연결해서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이치동 기자.
[기자]
네, 미국과 우크라이나가 우여곡절 끝에 ‘광물 협정’에 서명했습니다.
이번 협정은 우크라이나 내 희토류 등 전략 광물 자원 개발에 미국의 지분을 일부 인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또한, 양국은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한 공동 투자 기금도 설립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합의로 크게 두 가지 효과가 기대됩니다.
일단,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장기 투자를 공식화하며 안보에 기여하게 된다는 점.
그리고, 전후 재건을 위한 재원 마련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년간 미국이 제공한 군사 원조 비용을 갚으라고 우크라이나에 압박해 왔습니다.
하지만 이 같은 요구는 최종 협정안에는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당초 젤렌스키 대통령은 지난 2월 말 백악관 방문 당시 협정에 서명할 계획이었는데요.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 J.D 밴스 부통령과 공개 설전이 벌어지며 무산됐던 바 있습니다.
[앵커]
이번 협정 체결로 지지부진하던 종전 협상에 돌파구가 마련됐다고 볼 수 있을까요?
[기자]
그런 전망에 힘이 실립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관련 발표문에서 이례적으로 러시아의 침공이라는 표현을 쓰면서 우크라이나와의 ‘전략적 협력’을 명시했습니다.
협상을 주도한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이번 협정이 “이 잔혹하고 무의미한 전쟁을 끝내기 위한 미국의 약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우크라이나 평화 프로세스에 트럼프 행정부가 헌신하고 있다는 분명한 메시지”라고 강조했습니다.
베선트 장관은 이번 합의에 대해 ‘협상을 통한 전쟁 종식과 재건의 시작을 향한 첫걸음’으로 평가했습니다.
외견상 자원 개발· 경제 협력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안보까지 고려한 전략적 파트너십이라는 분석입니다.
다만, 우크라이나가 줄곧 요청해 온 구체적인 안보 보장 조항은 협정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럼에도, 이번 협정은 미국과 우크라이나 관계가 확실히 회복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보여주는 신호로 풀이됩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젤렌스키 대통령은 한동안 날 선 비방전을 이어오기도 했는데요.
최근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식에서 만나 오해를 풀고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로써 미국과 우크라이나가 공동 전선을 구축한 셈이어서,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 대한 압박 수위도 한층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보도국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우크라이나 #미국 #광물협정 #러시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치동(lcd@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