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500만 달러(약 70억 원)에 영주권을 주겠다며 내놓은 ‘골드카드’가 중국 부호들 사이에서 큰 호응을 얻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골드카드의 최대 타깃으로 꼽힌 중국인 부자들이 ‘비교적 합리적인 가격’에도 세금 문제나 범죄 피해 등의 우려를 떨쳐내지 못하고 있다고 홍콩 일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오늘(23일) 보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골드카드를 꺼내든 지 3개월이 지난 가운데 중국 부호들 반응이 여전히 미지근한 데는 올해 들어 미중 긴장이 고조되면서 중국 이민자에 대한 적대감이 커진 영향이 큽니다.
남부 광저우에서 부동산개발업을 하는 캔디스 멍은 SCMP와의 인터뷰에서 “싱가포르(약 191억 원)나 뉴질랜드(약 115억 원)와 비교하면 골드카드의 비용은 언뜻 혹할 만하다”면서도 “미중 무역전쟁 상황과 미국 도시의 범죄율을 고려할 때 미국이 살기 좋은 곳처럼 느껴지지 않아 신청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습니다.
세금 등을 포함한 여타 불확실성 문제 또한 골드카드에 대한 관심을 떨어트리는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외 소득에 대해서는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된다고 약속했지만, 실제로 어떻게 바뀔지 알 수 없다는 반응이 나옵니다.
미국 정부가 언제라도 미국 외 소득에 대한 세금을 부과할 수 있다는 우려에 중국 부호들은 해외 이주를 고려할 때 캐나다, 싱가포르, 일본 등을 선호합니다.
베이징 소재 이민 상담 업체인 웰트렌드의 잭 징 총괄매니저는 “골드 카드에 대한 문의가 있긴 하지만, 고객들은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면서 “다만 아이비리그 의대 진학을 목표로 하는 자녀를 둔 경우에는 확실한 수요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국 의대 대부분은 시민권자와 영주권자만 지원할 수 있다고 SCMP는 덧붙였습니다.
#골드카드 #영주권 #중국부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성섭([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