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집중적인 공격을 받고 있는 미국 아이비리그의 명문 하버드대학교 학생들이 항의 시위를 개최했습니다.
현지시간 27일 AFP통신에 따르면, 이날 보스턴 하버드대 캠퍼스에선 수백 명의 학생들이 모여 트럼프 행정부의 조치를 비판했습니다.
‘트럼프=반역자’라는 피켓이 등장한 시위 현장에서 참가자들은 “강의실의 학생들을 건드리지 말라”는 구호를 외쳤습니다.
시위에 참가한 재학생 앨리스 고이어는 “주변의 외국인 친구와 교수, 연구자들이 추방당하거나 다른 학교로 전학을 가야 할 위기”라며 “미국 국적인 나에게는 그들을 대신해 목소리를 낼 책임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미국 국토안보부는 하버드대가 캠퍼스 내 이스라엘 혐오 행위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중국 공산당과 협력하고 있다면서 외국 유학생들을 받지 못하도록 했습니다.
연방법원이 하버드대가 낸 가처분신청을 받아들이면서 이 조치의 효력은 일시 중단됐으나, 법정 다툼이 완전히 끝나지 않은 상황입니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는 법원의 가처분신청 인용 이후에도 하버드대에 지급한 정부 보조금 30억 달러(약 4조 1천억 원)를 회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사실을 공개하는 등 추가 조치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와 하버드대의 갈등은 지난 2023년 10월 이후 미국 대학가를 휩쓴 친(親)팔레스타인 시위에 대한 대처를 둘러싼 입장 차이가 촉발했습니다.
트럼프 정부는 캠퍼스 내 유대인 혐오 근절 등을 이유로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정책 폐기를 비롯해 입학정책과 교수진 채용에 정부가 감시할 수 있는 권한을 하버드대에 요구했습니다.
그러나 하버드대는 ‘학문의 자유’를 이유로 이를 거부했습니다.
특히 하버드대는 트럼프 행정부의 교칙 변경 요구 공문까지 공개하면서 반대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이에 대해 트럼프 행정부는 26억 달러(약 3조6,400억 원)에 달하는 연방정부의 연구자금 지원을 중단한 데 이어 유학생 등록 금지 등의 조치로 하버드대를 압박하고 있습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대통령은 하버드에 세금을 퍼주기보다는 미국의 가치를 반영하고, 미국 경제와 사회에 도움이 될 미래 세대를 교육하는 프로그램이나 주립학교를 지원하길 원한다”며 “미국에는 미국적 가치를 반영하는 학교가 더 필요하고, LGBT(성소수자) 하버드대 졸업생은 적게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하버드 #트럼프 #하버드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서연(jswh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