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무역 협상을 이끄는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다른 나라들이 미국과 협상에 성실하게 임하지 않으면 다시 높은 관세를 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베선트 장관은 현지시간 18일 NBC뉴스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서한’ 발언에 대해 “국가들이 선의로 협상하지 않으면 ‘이게 관세율이다’라고 적은 서한을 받을 것이라는 의미”라며 “모두가 선의로 협상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선의로 협상하지 않는 국가들의 상호관세율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월 2일에 발표한 수준으로 다시 올라갈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말하는 협상 지렛대가 이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6일 아랍에미리트에서 열린 행사에서 “향후 2∼3주 이내에 미국에서 사업을 하기 위해 내야 하는 것을 알려주는 서한을 각국에 보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베선트 장관은 CNN 인터뷰에서도 몇 개 국가와 무역 합의를 발표할 것으로 예상하냐는 질문에 “국가들이 선의로 협상하느냐에 달려 있다”며 “우리가 당장 집중하는 것은 18개의 중요한 교역 관계”라고 말했습니다.
베선트 장관의 발언을 종합하면 미국이 교역 규모가 가장 큰 18개 국가와는 개별적으로 협상하되 나머지 나라는 개별 국가가 아닌 지역 단위로 관세율을 설정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미국은 한국과는 이미 양자 협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베선트 장관은 “소수의 예외가 있지만 국가들은 우리에게 매우 좋은 제안을 들고 오고 있다”면서 “국가들은 그들의 관세와 비관세 장벽을 낮추고 싶어 한다”고 말했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예린([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