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사령관은 현지시간 15일 미국이 중국과 러시아의 위협을 상대하는 데 있어서 한국에 지상군을 계속 주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브런슨 사령관은 이날 하와이에서 열린 미국 육군협회 태평양지상군 심포지엄에서 광활한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군사 작전을 어렵게 하는 ‘거리의 횡포’를 극복하는데 한국에 주둔한 미군이 큰 역할을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브런슨 사령관은 한국의 지리적 위치가 전략적으로 중요하다면서 한국이 “베이징과 가장 가까운 동맹의 존재”이자 “일본과 중국 본토 사이에 떠 있는 섬이나 고정된 항공모함 같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는 “한국에 주둔하는 미군은 북한, 러시아, 중국 지도부의 셈법을 바꾸고, 비용을 부과하며, 어느 충돌에서든 우리나라의 가장 고위급 지도자들에게 선택지를 제공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주한미군은 북한을 격퇴하는 것에만 초점을 맞추지 않는다. 우리는 더 큰 인도태평양 전략의 작은 부분으로서 역내 작전, 활동과 투자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주한미군의 활동 범위를 한반도에 국한하지 않고 중국의 대만 침공 같은 위기 상황에 투입하는 전략적 유연성을 추구할 것이란 관측과 유사한 맥락의 언급이어서 주목됩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성호([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