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플이 올가을 출시 예정인 아이폰17 시리즈의 가격 인상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현지시간 12일 소식통을 인용해 애플이 아이폰17에 새로운 기능과 디자인을 도입하며 가격 조정을 논의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아이폰 가격이 인상된다면 2022년 이후 처음입니다.
현재 아이폰 기본 모델(128GB)은 799달러, 고급형 프로맥스(256GB)는 1,199달러부터 시작합니다.
가격 인상 폭과 세부 기능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지만, 새 운영체제를 포함해 전반적인 디자인 변화가 예고되고 있습니다.
애플은 기존 아이폰16 플러스(미국 판매가 899달러)를 대체할 더 얇은 모델도 라인업에 포함시킬 것으로 전망됩니다.
신형 모델들은 오는 9월 공개될 가능성이 큽니다.
아이폰은 지난달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 시절 설정된 상호 관세 면제 품목으로 지정됐지만, 여전히 ‘펜타닐 관세’ 20%가 적용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부품 공급업체들이 비용을 전가하기 어려워졌고, 가격을 올리지 않을 경우 애플의 마진이 줄어들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애플 CEO 팀 쿡은 이달 초 실적 발표에서 “이번 분기에만 관세로 9억 달러의 추가 비용이 발생했고, 앞으로 더 커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소식통에 따르면 애플은 가격 인상 시 미국 내 정치적 논란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앞서 아마존이 관세 금액을 상품 가격에 명시하려다 백악관의 반발로 계획을 철회한 바 있습니다.
애플은 아이폰 생산을 중국 외 국가로 다변화 중이지만, 여전히 핵심 부품은 중국 의존도가 높습니다.
테크인사이트 분석가 아빌라시 쿠마르에 따르면 인도는 지난해 아이폰 출하량의 약 13∼14%를 차지했으며, 올해는 이 비중이 두 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그는 “2026년 말~2027년 초까지 인도 생산이 미국과 인도의 수요를 충족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부품 조달 측면에서 중국은 여전히 중요하다”고 평가했습니다.
#아이폰17 #애플 #신형아이폰 #관세전쟁 #관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수강([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