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소년 범죄자에게 중국식 군사 훈련을 받게 하자고 주장한 인도네시아 주지사가 이번에는 빈곤 남성에 대한 정부 복지 지원 조건으로 정관수술을 제안해 다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현지시간 8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데디 물야디 서자바 주지사는 최근 연설에서 정부의 사회복지 지원을 받으려는 빈곤 남성에 대해 정관수술을 받게 하는 구상을 밝혔습니다.
물야디 주지사는 “왜 가난한 집은 아이를 많이 낳고, 부자들은 20억 루피아(약 1억6천만 원)를 내고 시험관 시술을 하는데도 아이를 갖기 어려운지 모르겠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자녀 11명을 둔 부부를 만난 사실을 언급하며 그 자녀들 가운데 일부는 빵을 팔기 위해 거리로 내몰린 적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물야디 주지사는 “아이를 잘 키울 수 없다면 낳지 말라”며 소외계층 여성을 위한 출산 보조금도 ‘간이 주택’ 건설 사업으로 돌리자고 제안했습니다.
SCMP는 향후 식량, 장학금, 공공 주택 등 다른 정부 지원 조건에도 정관 수술이 포함될 수 있으며 수술에 동의한 남성은 50만 루피아(약 4만2천 원)를 받게 된다고 보도했습니다.
물야디 주지사의 발언이 알려지자 종교계뿐만 아니라 전문가들도 복지 지원의 전제 조건으로 정관수술을 받게 하는 정책은 강압적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인도네시아 최대 이슬람 단체 ‘나들라툴 울라마’의 고위 성직자인 촐릴 나피스는 SNS에 “이슬람은 영구 불임수술을 금지한다”며 “가난한 이들의 출산을 막을 게 아니라 고용 기회를 늘려야 빈곤을 막을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술피카르 아미르 싱가포르 난양기술대학교 사회과학부 부교수도 “정말 말도 안 되는 발상”이라며 “노골적인 형태의 ‘신체 정치'”라고 꼬집었습니다.
인도네시아 정치인들이 빈곤과 관련한 발언으로 논란이 된 사례는 이전에도 있었습니다.
2020년 무하지르 에펜디 인적자원개발·문화 조정장관도 빈곤 가정끼리 결혼하면 빈곤율을 높인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가 비판받은 적이 있습니다.
물야디 주지사는 최근 자카르타 인근 위성도시에서 청소년 범죄가 급증하자 중국식 군사 갱생 훈련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방안을 제안해 논란이 일기도 했습니다.
#인도네시아 #복지지원 #정관수술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성섭([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