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의 외교안보·통상 분야 참모인 김현종 전 국가안보실 2차장이 미국 워싱턴 DC에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당국자들과 회동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김 전 차장은 현지시간 8일 ‘이재명 후보 외교안보보좌관’ 자격으로 백악관 고위 당국자들과 만나 한미동맹과 한미일 3국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이 후보 입장을 전달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북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우리는 미국과 같이 규탄하는 입장을 가지고 있고, 발사는 유엔 결의 위반이므로 북한이 발사를 자제했으면 좋겠다는 이야기를 했다”고 전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통상안보 TF’ 단장도 맡고 있는 김 전 차장은 “관세 이슈에 대해서도 한국은 미국의 동맹국이자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으로서 특히 자동차 부품 관세는 우리가 수용할 수 있는 수준에서 해결해야 한다는 점을 언급했다”고 공개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이 책정한 90일의 상호관세 유예기간이 오는 7월8일 종료되는 데 대해 “한미간 협상을 위한 시간이 더 필요할 것 같다고 했다”고 밝혔고 미측은 고개를 끄덕거렸다고 전했습니다.
노무현 정부 시절 한미 FTA 체결 협상을 주도했던 김 전 차장은 기로에 선 한미 FTA에 대해 “대선 이후 한국의 새 정부가 어떻게 대응할지 신중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미국이 한국에 25%의 상호관세율을 적용하기로 한 데 대해서는 “미국의 FTA 체결국가 중 가장 높은데, 그것이 과연 타당한 것인지에 대해 미측 당국자들에게 언급을 했다”고 소개했습니다.
주한미군 감축과 역할 변화 등 문제에 대해 미측 인사들이 거론했는지에 대해 “답변하지 않겠다”고 밝혔고 한국의 독자 핵무장 가능성에 대한 미측의 우려 표명, 또 북미 정상외교 관련 언급 등은 없었다고 확인했습니다.
이번 방미 협의가 한국의 대선을 20여일 앞둔 정치적으로 민감한 시기에 이례적으로 이뤄졌다는 지적에 대해 “이례적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이라며 “서로 조기에 만나서 이슈에 대해 생각이 유사하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은 중요한 절차라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김 전 차장은 노무현 정부 시절 외교통상부 통상교섭조정관과 통상교섭본부장, 주유엔대사 등을 지냈고, 문재인 정부 시절에는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과 국가안보실 2차장, 대통령 외교·안보 특별보좌관 등을 역임했습니다.
워싱턴 정호윤 특파원
#김현종 #트럼프 #한미일 #관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호윤([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