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금리를 내리라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압박에도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를 또 동결했습니다.
트럼프 관세 정책 여파라고 못 박으면서, 대통령의 어떤 요구도 통화정책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워싱턴 정호윤 특파원입니다.
[기자]
미국 기준금리는 이번에도 꿈쩍하지 않았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열린 1월과 3월에 이어 이번까지 세 차례 연속 동결입니다.
4.25~4.5%로, 우리와의 금리 격차도 상단 기준 1.75%포인트를 유지했습니다.
연준은 트럼프 대통령의 거침없는 관세 정책을 금리 동결의 주된 이유로 꼽았습니다.
<제롬 파월/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발표된 큰 폭의 관세 인상이 지속된다면 인플레이션 상승, 성장세 둔화와 실업률 증가를 야기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관세 정책이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을 키웠고,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이 더 높아질 위험이 커졌다고 진단했습니다.
관세 정책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조금 더 인내심을 갖고 지켜보겠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파월 연준 의장은 동결 결정 직후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를 신경쓰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제롬 파월/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는) 직무 수행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경제 지표와 전망, 위험 균형이 우리가 고려하는 것의 전부입니다.”
시장에서는 다음 달 통화정책 회의에서도 금리를 계속 동결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관세 여파가 장기화될 불확실성을 감안할 때 빨라야 7월 이후에나 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이 있는데, 그마저도 불투명하다는게 중론입니다.
금리 동결의 여파 속에 뉴욕증시는 3대지수 모두 강세로 마감했습니다.
<정호윤 특파원> “트럼프의 요구에 파월은 답하지 않았습니다. 미국 경제의 방향성을 두고 권력과 경제의 꼭짓점에 선 두 사람의 갈등이 격화될거라는 우려섞인 전망이 나옵니다. 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정호윤입니다.”
[영상취재 송혁진]
[영상편집 최윤정]
#기준금리 #동결 #관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호윤([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