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이틀째 동반 약세로 마감했습니다.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가 이틀 일정을 시작한 가운데 미국과 주요국 간 관세 협상 결과를 기다리며 증시는 조정을 이어가는 분위깁니다.
현지시간 6일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89.83포인트(0.95%) 밀린 40,829.00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43.47포인트(0.77%) 떨어진 5,606.91, 나스닥종합지수는 154.58포인트(0.87%) 밀린 17,689.66에 장을 마쳤습니다.
관세 협상과 관련해선 유의미한 진척은 없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르면 이날 중 무역협상 합의와 관련해 발표할 것이란 기대와 달리 트럼프 대통령이 별다른 협상 진전 상황을 발표하지 않으면서 불확실성 일부 해소를 기대했던 시장에 실망감을 안겼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를 만난 자리에서 무역협상 진행 상황에 대해 “우리는 협정을 체결할 필요가 없다. 그들(상대국)이 우리와 협정을 체결해야 한다”면서 “지금 당장 25개의 협정을 체결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앉아서 향후 2주 내 어느 시점에 이를 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앞서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하원 세출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우리는 어쩌면 이르면 이번 주 우리의 최대 교역국 일부와 무역 합의를 발표할 것”이라고 밝혀 무역협상 진전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을 키우기도 했습니다.
외신에선 미국과 영국이 이번 주 합의를 목표로 무역협정 체결을 준비 중이라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연준은 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치고 기준금리를 결정합니다.
시장 전문가들이 이번 회의에서 금리 동결을 예상하는 가운데 기다리며 관망하겠다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기존 입장에 변화가 있을지 주목됩니다.
미국의 3월 무역수지 적자 규모는 사상 최대치를 경신하며 트럼프가 촉발한 관세 불확실성을 고스란히 반영했습니다.
대규모 관세 정책을 앞두고 선주문이 급증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3월 무역수지 적자는 1천405억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월 대비 14% 늘어난 수치이자 시장 예상치 1천370억달러보다 큰 적자로, 미국은 지난 1월 1천307억달러의 무역 적자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업종별로는 에너지와 유틸리티는 상승했지만 전날 트럼프 대통령의 의약품 관세 발표 여파로 의료건강은 3% 가까이 급락했습니다.
거대 기술기업 7곳을 가리키는 ‘매그니피센트7’은 아마존과 애플이 강보합을 기록했고 나머지 종목은 모두 하락했습니다.
#뉴욕증시 #다우지수 #SP500 #나스닥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신주원([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