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닛 옐런 전 미국 재무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중국산 핵심 광물에 의존하는 미국 기업을 위축시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며 경기 침체 가능성을 경고했습니다.
옐런 전 장관은 현지시간 1일 보도된 파이낸셜타임스(FT)와 인터뷰에서 수입 제품의 약 40%가 미국 국내 생산에 투입되고 있다면서 “(관세 정책이) 미국과 소비자, 수입 투입재에 의존하는 기업 경쟁력에 엄청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아직 경기 침체를 예측한다고 말할 준비는 되지 않았지만, 확실히 (경기 침체) 가능성은 훨씬 커졌다”고 진단했습니다.
이 같은 발언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 여파로 미국의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역성장하며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나온 것입니다.
앞서 미국 상무부는 1분기 GDP 증감률(속보치)이 -0.3%(직전 분기 대비 연율)로 집계됐다고 발표했습니다.
기업들이 트럼프 대통령이 불 붙인 관세전쟁에 대응하기 위해 미리 재고를 비축하면서 수입이 크게 늘어난 데 따른 결과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달 2일 전 세계 무역 상대국에 대해 상호관세를 발표해 시장을 혼란에 빠트렸습니다.
이후 중국을 제외한 교역국들에는 상호관세 시행을 90일간 유예했으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145% 관세는 유효한 상태입니다.
옐런 전 정관은 “미국이 청정에너지 기술, 배터리 등에 들어가는 핵심 광물 대부분을 중국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면서 “막대한 관세를 부과함으로써 우리는 기회가 있을 수 있는 산업을 잠재적으로 방해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옐런 #관세 #경기침체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성섭([email protected])